경기도, 달달투어 현장에서 만난 김동연 지사의 특별한 인연 > 도정/시정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도정/시정

경기도, 달달투어 현장에서 만난 김동연 지사의 특별한 인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11-10 08:32

본문

NE_2025_HCJAQD18688.jpeg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달달투어’ 도중 ‘특별한 인연’이 있는 곳을 찾았습니다.

성남시 수정구에 있는 자활센터였습니다.

센터의 주소는 ‘성남시 수정구 산성대로 409’입니다. 김 지사에겐 추억이 서린 곳입니다. 센터 일대를 예전엔 ‘광주대단지’라고 불렀습니다. 서울에서 무허가 판잣집을 짓고 살던 이들을 강제이주시켰던 곳입니다. 김 지사 가족도 1970년대에 청계천 일대에서 판잣집을 짓고 살다 철거민이 되었습니다. 김 지사는 열네살때 ‘광주대단지’로 강제이주 당했습니다. 천막을 치고 살면서 서울로 통학했습니다.

청소년기를 보낸 그곳에 오늘 달달버스를 타고 온 것입니다.

김 지사의 천막집이 있던 곳은 지금은 커피숍이 되었고, 천막집 바로 뒤는 대형아파트, 천막집 바로 앞에 오늘 들른 ‘성남만남자활센터’가 자리잡았습니다. 김 지사가 “저기가 개천이었다”고 손가락을 가리킨 곳엔 상가가 들어서 있습니다.

김 지사는 연신 “상전벽해(桑田碧海)네요”라고 혼잣말을 했습니다.

공교로운 것은 ‘광주대단지’내의 상대원동에 6년뒤(1976년) 이재명 대통령 가족도 이주해왔다는 사실입니다.

김 지사가 오늘 찾은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센터장 박정선)에는 센터근무자 17명, 성남시 각지에 있는 18개 사업단에 자활근로자 199명이 일하고 있습니다. 센터 종사자가 216명이나 됩니다. 센터는 자활사업을 하는 곳입니다.

-‘자활근로자’란 법적 용어입니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에 규정한 생계급여 수급자 중 근로 능력 있는 자 등을 말합니다.

-‘자활근로사업’은 단순한 일자리 제공이 아닙니다. 생계급여수급자 또는 차상위자 등이 장기적으로 참여(최대 60개월)하게 하여, 창업-직업훈련-자격증 취득 등을 돕는 것입니다.

- 2인 이상의 자활근로자들이 ‘자활근로사업단’을 거쳐 기술력과 매출 실적을 쌓은 뒤 조합이나 사업자 등록을 하면 조합또는 사업자의 형태로 ‘자활기업’을 창업할 수 있습니다.

- ‘자활기업’으로 성장해 시장에 진입하면, 맞춤형 지원(창업자금, 한시적 인건비, 국공유지 우선임대, 공공기관 우선구매 등)을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자활근로자들이 창업한 다수의 자활기업이 도내 각 영역에 진출하고 있는 중입니다.

- 이상 일련의 자활시스템을 보더라도, 자활사업은 단순히 취약계층을 보호하는 복지가 아닌 ‘생산적 복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김동연 지사가 찾은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엔 위에 언급한 대로 18개 사업단이 있습니다. 18개 사업단에 자활근로자들이 올린 매출이니 의미가 큽니다.

올 한해(지난 9월 현재) 매출액이 23억 원이나 됩니다.

이재명 대통령이 성남시장이던 시절 보건복지부의 전국 지역자활센터 평가에서 처음으로 우수기관에 선정됐습니다. 이후 김동연 지사의 민선8기까지 13년 연속(’13~’25) 우수기관으로 뽑혀왔습니다. 이재명 성남시장 시절 기반을 닦았고, 김동연 지사가 더욱 키운 결과입니다.

올해 도의 전체 자활근로 사업 지원 예산은 1,163억 원여 원,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 지원 예산은 43억 8,100만 원에 이릅니다. 계속 확장해서 예산편성을 해 온 결과입니다.

사이트 정보

PC 버전으로 보기